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농심 주가 분석 해외 매출 영향 가격 인상

by 부자타령 2023. 4. 15.
반응형

농심 주가 상승과 하락에 대한 자료분석입니다. 국내 라면 가격 상승과 더불어 글로벌 수출도 상당한 매출 영향이 있습니다.

 

농심주가 월단위 차트 확인

 

가격 인상

 

농심은 두 차례 제품 가격 인상했습니다. 신라면은 전년 대비 약 11%, 새우깡은 14% 올랐습니다.

농심주요제품 가격 인상

 

가격인상은 식품업계에서는 주가 상승에 가장 큰 요인입니다. 한 번 올라간 가격이 내려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매출 원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포장, 유통, 원료 가격이 안정화된다면 영업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해외 매출 영향

 

 2022년은 매출의 절반을 해외에서 올렸다고 합니다. 농심, 삼양, 오뚝이, 팔도 등 빅 4 라면 업체의 지난해 매출액 총액 4조 8597억 원 가운데 해외 매출액이 2조 3215억 원에 달했습니다. 일반라면은 물론이고 짜장, 불닭, 할랄 라면까지 인기를 끌면서 수출국도 143개로 늘었습니다. 

 

명확한 단점들 하락가능성

-신제품 히트가 없고 기존 스테디셀러 의존도 높다

농심 하면 뭐다? 신라면입니다. 신제품이 계속 나오지만 사라지는 경우도 많고 딱 떠오르는 제품이 있으신가요? 저는 생각이 바로 안 나옵니다. 몇 십 년간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물을 사 먹는 문화가 생기면서 '백산수'가 유일하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경쟁사 PB 제품 성장세

PB(Private Brand) 제품은 유통 회사에서 자체 제작한 물건들입니다. 예를 들면 이마트에서 내놓은 노브랜드(No Brand)나 코스트코의 커크랜드(Kirkland)가 유명한 PB입니다. 

라면에서는 CU와 더본코리아 공동출시한 PB 제품인 백종원 컵라면이 100만 개가 넘게 팔리면서 신라면 판매량(CU 한정)을 뛰어넘기도 했습니다. 물론 어느 정도의 언론플레이와 CU 한정인 점이 있습니다.

 

식품위생

먹는 것 가지고 장난치지 말라는 말을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아무리 철저하게 해도 어떤 이슈가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농심 기준

최근에 신라면 블랙이 잔류농약 허용기준치 초과로 대만과 태국에서 유통 중단 조치가 내려졌습니다. 식품업계에서 유해물질 이슈는 언제나 발생합니다. 나라마다 규정이 다르고, 유해 물질 종류가 많기 때문에 더 어렵습니다. 하지만 농심이 이러한 문제에 자주 노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론

  • 경기방어주 수급 및 판매가 인상으로 최근 좋은 주가 흐름
  • 영업이익이 좋아질 것으로 보임 PER 15 추정치까지 내려갈 수 있음
  • 위 자료들로 봤을 때 농심 주가가 큰 폭 상승하는 기대는 쉽지 않음

 

 

 

반응형

댓글